우리 최씨 1세~15세 가계도
우리 흔봉(대경공) 계는 11세~14세 까지 4대에 걸쳐 평장사를 역임하여 한 때 강릉 최씨 평장공 파라 불리우기도 하였으며 1세~11세 까지 선조 묘는 개성 인근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위치는 확인 미상이며 강릉 대종회에서 지내는 시제는 완산 최씨에서 강릉 최씨로 본관이 바뀐 12세 입지 (충숙공) 할아버지 (중시조)에 대한 제사입니다
■1세 흔봉(대경공)
890년~918년(고려 원년) 통합삼한익찬훈, 태조 부마, 완언위
■2세 식봉(호장): 지방의 족장
■3세 봉례(창정): 호장 바로 아래
■4세 수익(문절공)
■5세 원호(병정): 병역 복무자
■6세 충서(상장군): 조선 시대 정 3품
■7세 칙연(호장): 지방의 족장
■8세 숙(직장): 정7품 관직
■9세 광유(충의공)
■10세 군보(문정공)
■11세 릉(휘릉공)
-우정승
-상호군
-상당부원군
-여주 관호장
-평장사
-부인:경주 최씨 (필달계)
■12세 중시조 입지(충숙공)
-최릉의 아들 (1275년 생)
-충열왕 때 문과급제
-광정대부 문화평리 상호군
-내사시랑 평장사
-강릉군에 봉함
-충익사 공신에 훈봉
-완산 >> 강릉으로 본관 이적
-세종 때 영의정으로 가증됨
-1,308년 졸
-부인: 경주최씨 (필달계)
■13세 안소(문충공)
-입지의 첫째 아들 (유련, 유의 아버지)
-1295년 생(충열왕)
-한성부윤,
삼중대광 문화좌시중
-동중서 평장사 예부사
-판상서예부사
-강릉군에 봉함
-공민왕 때 순성보리공신 부원군에 봉함
-고려수복 후 한양부윤으로 임명
-1303년 공신록 2등 공신에 봉함
■13세 안영(예성군)
-입지의 둘째 아들
-1,297년 생(충열왕)
-1,326년(충숙왕) 진사, 1,328년 문과 급제
-한림학사, 정헌대부
-예조, 이조 전서
-홍건적 토벌 및 개경수복 공으로 1,361년 예성군(강릉 옛 이름)에 봉함
-1,369년 안동 순흥부사 때 청백리 칭호
-부인: 기록 없슴
-강릉 장현동에 묘비
■13세 안언(전서공)
-입지의 셋째 아들
-충정왕 때 급제
-자헌대부첨서 중추원사
-보문각 태학사 겸 이조전서
-성균관 대사성
-부인: 강화 최씨(문한계)
-강릉 입암동에 묘비
■14세 유련(문희공)
-안소의 첫째 아들 (희경공의 아버지)
-1,321년 생
-충목왕 때 3차례 과거 장원급제
-1,374년 추충찬화 보리공신
-문화시랑 평장사
-강릉군에 봉함
-보국승록대부
-의정부찬성사
-이 태조로 부터 개국 원종 공신에 훈봉됨(보물급)
-1,405년 졸
-부인: 이천 서씨
■14세 유의(병판공)
-안소의 둘째 아들, 유련의 아우, 구정공(대사간)의 아버지
-1,382년(우왕 8년)경상 안렴사
-집현전 대제학
-전법판서, 밀직부사
-공양왕 폐위시 이태조로 부터 수차례 병조판서로 임명 되었으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해 거부하고 삼척 수양산에 은거함
-부인: 이씨
■14세 사광(호판공)
-안영의 첫째 아들
-1,324년 생(충숙왕)
-공민왕 때 과거 급제
-한림원 태상박사
-1,377년 전의사령
-성균제주, 홍주목사
-1,396년 병마사 대호군
-대마도 정벌 후 호조판서에 책봉
-목은 이색과 두터운 교분(이색이 4살 아래)
-1,400년 졸
-부인: 전주 이씨
-강릉시 장현동에 묘
■14세 사정 (죽당공)
-안영의 둘째 아들
-1,352년 생
-형 사광과 두터운 교분이 있는 목은 이색에게 사사
-1,390년(공양왕) 문과 급제
-한림학사,북청 부사
-이조 태종으로 부터 형조전서에 임명되었으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해 거부함
-강화계 시조인 최문한과 두터운 교분(문한의 아들 극림이 사정의 사위가 됨)
■14세 운기(이판공)
-안언의 아들
-1374년(공민왕) 도병마사
-최영 등 3,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원나라 연경까지 원정하여 고수적을 토벌하여 삼사좌윤, 이조판서에 오름
-부인: 경주 최씨(필달계)
■15세 최이 (희경공)
-유련의 첫째 아들
-1,356년(공민왕 5년)생 -1,426년(세종 8년)졸
-1,380년(우왕 6년) 문과급제
-정선군수, 교주도(강원 영서 지방) 안렴사
-1,390년 삼사 좌윤
-1,400년 대사헌 겸 좌군총제
-1,402년 전라도 도절제사
-1,404년 참찬 의정부사, 공조판서
-1,405년 충청도 병마 겸 수군도 절제사
-1,408년 길주도 안무사, 진주 목사
-1,412년 형조판서, 호조판서
-1,420년 경상도 관찰사
-1,424년 청백리 칭호 하사
-강릉군에 봉함
-명 태종 조문을 위해 세종 사신으로 다녀옴
-태종 방원이 삼사좌윤일 때 희경공이 삼사우윤을 맡아 함께 개국에 참여함
-이조 개국 정공신 58명 중 1명(사후 영의정으로 추존)
-희경공파 (남양, 수원, 용담, 노동, 신황, 사직, 오봉, 남현, 동해파) 시조
■15세 최지 (호군공)
-유련의 둘째 아들
-1,385년 문과급제
-상서이부시랑
-국자제주, 지이부사
-좌우 위호군
-조선 개국파에 의해 최영 등과 함께 참수 됨
■15세 수 (구정공, 대사간)
-유의의 아들
-1425년(세종) 고산현감
-1427년 집현전 박사로 성리학을 깊이 연구
-1,451년 경기, 강원, 경상, 전라 4도 순무사
-1,452년 동부승지, 예조참의, 대사간
-1,453년 계유사화 때 세조로 부터 대사헌 직을 제안 받았으나 단종에 대한 충절을 지키기 위해 삼척 맹방에 은거하며 거부함
-대사간파(운곡, 찰방공, 옥계, 매동, 행정, 횡성, 평창) 시조
-부인: 밀양 박씨
■15세 인호(참판공)
-사광의 첫째 아들(1,328년 생), 가정 이곡에게 사사
-이조좌랑, 창원 목사, 간성 군수, 동부승지, 호조참판
-천문 지리에 능통
-목은 이색에게 사사
-부인: 문화 유씨
-문암, 홍원, 춘헌공, 정평(율천),효자공파 시조
■15세 인하(현감공)
-사광의 둘째 아들
-이천 현감
-권농단 연판관
-형 인호가 간성 군수 재직시 쉬러갔다가 그 곳에 정착
-부인: 성주 이씨
-대대, 원당파 시조
■15세 원해(군수공)
-사정(죽당공)의 아들
-평해군수, 월송만호
-대호군 병부상서
-송림파 시조
■15세 종경(부사공)
-운기(이판공)의 아들
-1,405년(태종) 문과급제
-강릉교수, 안동부사
-강릉향교 소실 후 재건에 공훈
-부인: 강릉 김씨
-병산파 시조
[12세~15세 요약]
12세: 입지 충숙공
13세: 안소, 안영, 안언 (3명)
14세: 유련, 유의, 사광, 사정, 운기 (5명)
15세: 이, 지, 수, 인호, 인하, 원해, 종경 (7명)
■13세 첫째 안소(문충공)
아들: 유련, 유의 >> 희경공 대사간파의 선조
■13세 둘째 안영(예성군)
아들: 사광, 사정
■13세 세째 안언(전서공)
아들: 운기
●14세 유련(문희공)
아들: 최이(희경공), 최지(호군공)
●14세 유의(병판공)
아들: 수(구정공 >> 대사간)
●14세 사광(호판공)
아들: 인호(참판공) 인하(현감공)
●14세 사정(죽당공)
아들: 원해(군수공)
●14세 운기(이판공)
아들: 종경(부사공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