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제사, 차례 절차와 용어 해설]
■제사 순서
1.분향 강신
- 제주가 향을 피운다
-제주가 술잔에 술을 부은 뒤 모사에 세번 나누어 붓는다
-제주는 절 두 번 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
2.참신 재배
-모든 사람이 절 두 번 한다
3.헌주(초헌)
-제주가 첫 잔을(부친 >>모친 순서) 올리고 절 두 번 한다
4.독축
-축관이 엄숙하게 축문을 읽는다
5.아헌
-장손 또는 가까운 사람이 잔을 올린 후 절 두 번 한다
6.종헌
-다음 가까운 사람이 잔을 올린 후 절 두 번 한다
7.계반 삽시
-밥 뚜컹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
(수저 바닥이 동쪽을 향하게)
8.합문 계문
-전원 자리를 피하여 흠향토록 한다
-잠시 후 축관의 헛 기침을 신호로 제사상으로 돌아 온다
9.헌다
-잠시 후 돌아 와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다
-밥을 세 번 떠 숭늉에 넣는다
-수저는 물 그릇에 넣는다
-밥 뚜껑을 반 정도 덮는다
10.철반 복시
-수저를 거두고 밥 투껑을 덮는다
11.사신
-제사가 끝나 모두 절 2번 한다
-지방과 축문을 태운다
12.철상 음복
-음식을 치우고 음복을 한다
■차례 순서
1.분향 강신: 제주가 향을 피운 후 술을 잔에 따른 뒤 세 번에 나누어 모사 그릇에 붓고 절 두 번 한다
2.참신: 일동이 절 두 번 한다
3.헌주: 제주가 술을 올린다
4.삽시 정서: 밥(또는 떡국), 국 (또는 송편) 에 수저와 젓가락을 정돈한다
5.시립: 일동 서 있는다
6.사신: 수저를 거두고 일동이 절 두 번 한다
7.철상 음복: 상을 치우고 함께 음복한다
■차례상 음식 놓기
◇1열: 시접(수저,젓가락), 잔반(술잔, 받침대), 밥(메) 또는 송편, 국(갱) 또는 떡국, 신위, 지방(좌반 우갱)
◇2열: 생선, 고기, 전, 적 (어동 육서, 동두 서미)
◇3열: 탕 종류와 좌우에 촛대
◇4열: 나물, 어포, 간장, 생선젓, 식혜 (좌포 우혜, 숙서 생동)
◇5열: 대추, 과일, 한과 (홍동 백서, 조율 이시)
■용어 해설
*남좌 여우:제상에서 남자는 왼쪽, 여자는 오른쪽
*좌반 우갱: 좌측에 밥, 우측에 국
*어동 육서: 생선은 동쪽, 고기는 서쪽
*동두 서미: 생선 머리는 동쪽, 꼬리는 서쪽
*좌포 우해: 좌측 끝에 포, 우측 끝에 식혜
*생동 숙서: 생나물은 동쪽, 익힌 나물은 서쪽
*홍동 백서: 붉은 과일은 동쪽, 흰 과일은 서쪽, 중앙에는 조과 등
*조율 이시: 왼쪽부터 대추, 밤, 배, 감(또는 꽃감)